코로나로 인한 실업률이 높아짐에 따라 실업급여 신청해야 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죠~
실업급여 신청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하는 일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고용보험 상실신고 여부
두 번째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입니다!
고용보험 상실신고의 경우 근로자의 퇴사일 기준으로 다음날 15일 이내에 신고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며, 신고가 지연되는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직확인서의 경우 근로자의 요청이 있는 날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발급해주어야 하며 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고용보험 상실신고 및 이직확인서 처리는 모두 내가 그만둔 후에 전 직장에서 처리해주어야 하는 것인데
보통의 경우 기한 내에 처리가 되겠지만 실업을 당한 실업자의 입장에서는 처리기간 동안 기다리는 게 유난히 더 길게 느껴지기 마련이에요.ㅠ
게다가 그만두는 과정에서 회사와의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거나 후임자와의 관계가 좋지 않다면 언제 처리되는 것인지 연락해서 물어보기 껄끄러운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전 직장에 연락하지 않고 고용보험 상실 여부와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고용보험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페이지로 들어가 주세요
제일 처음 화면에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 주세요
개인 / 일반 근로자 선택 / 주민등록번호 입력까지 하고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 주시면 됩니다.
// 고용보험 상실신고 확인 //
상단에 개인 탭에서 정보조회를 선택하고
왼쪽에 보험료 정보조회 -> 개인별 부과고지 보험료 조회에 들어가 주세요
보험 연도 선택 / 진전 근무지 사업장 선택 후 조회를 누르면
사진처럼 사업장 정보와 근로자 정보 및 채용 일과 퇴사일이 찍혀있으면 고용보험 상실 신고가 완료된 것으로 봅니다.
그 외에 근로자의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 내역도 하단에 같이 표시돼서 확인할 수 있어요~
//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확인 //
이직확인서 또한 고용보험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화면에서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 로그인 화면에서
상단에 개인 탭에서 정보조회를 선택하고
왼쪽에 민원조회 ->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에 들어가면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확인되었으면 이제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공공기관의 업무량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고용보험 상실신고 및 이직확인서 처리기간에는 직전 근무한 회사에서 접수한 날로부터 3~4일 정도의 시간이면 충분히 처리되는 것 같더라고요~
'이직'이라는 말이 이직확인서에서는 퇴사를 확인하는 뜻으로 사용이 되지만
'이직'이라는 말만 놓고 보았을 때에는 다른 회사로 옮겨감을 뜻하기도 하지요~
그렇게 우리는 코로나로 인하여 뜻하지 않은 실업상태에 놓였지만!
실업급여를 받으며 다른회사로의 이직을! 준비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고 모두들 화이팅 하셨으면 좋겠어요*-*
'정보 및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모르게 위를 병들게 하는 습관들! (1) | 2020.11.05 |
---|---|
가을철 반려견 산책시 주의할 점!(댕댕이가 위험해!) (3) | 2020.11.04 |
국민은행 리브메이트 일반상식퀴즈 165회차 정답! (1) | 2020.11.02 |
제주도 반려동물 등록비용 전액 무료지원! (2) | 2020.10.31 |
멍드는 이유와 멍 빨리 빼는 방법 (2) | 2020.10.28 |